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1358

참취, 머위. 식물- 참취, 머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~~  참취국화과 참취속  / 여러해살이풀잎은 근생엽은 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 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꽃이 필 때 없어지며,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 심장형이고  위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.꽃은 흰색으로 8~10월에 핀다.열매는 수과이며 11월에 성숙한다.어린순이나 연한 잎은 나물, 쌈 등으로 식용한다.개미취, 곰취 등과 함께 취나물의 일종이다.약용식물로 이용되며 혈액순환촉진 등에 이용된다.  머위국화과 머위속  / 여러해살이풀잎은 근생엽으로  엽병이 길며 콩팥모양이고 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.잎은 얇고 까질한 편이다.꽃은 산방꽃차례이며 잎이 나오기 전에 뿌리줄기에서 꽃대가 나오며 3~4월에 핀다.암수딴그루이며 암꽃은 흰색이고 수꽃은 연노.. 2024. 6. 9.
머위, 털머위. 식물- 머위, 털머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~~  머위국화과 머위속  / 여러해살이풀잎은 근생엽으로  엽병이 길며 콩팥모양이고 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.잎은 얇고 까질한 편이다.꽃은 산방꽃차례이며 잎이 나오기 전에 뿌리줄기에서 꽃대가 나오며 3~4월에 핀다.암수딴그루이며 암꽃은 흰색이고 수꽃은 연노란색이다.열매는 수과이며 관모는 흰색이고 6~7월에 성숙한다.땅 위에는 줄기가 없으며 땅속줄기가 사방으로 뻗는다.식용 및 약용식물로도 이용되며 해독, 타박상 등에 이용된다.  털머위국화과 털머위속  / 상록 여러해살이풀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기하며 엽병이 길고  콩팥모양이며 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거나 없고 뒷면에는 흰털이 있다.잎은 두껍고 윤기가 있다.꽃은 머리모양꽃차례가 산방상으로 달리며 노란색으로 9~1.. 2024. 6. 9.
큰금계국. 식물- 큰금계국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~~ 큰금계국국화과 기생초속  / 여러해살이풀잎은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 줄기잎은 마주나기한다.잎은 3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.꽃은 머리모양꽃차례이며 설상화와 통상화 모두 노란색이고 6~8월에 핀다. 설상화는 꽃잎이 8개이고 가장자리  끝은 톱니 모양이다.열매는 수과이다.원산지는 북아메리카이다.  이상은 식물- 큰금계국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~~ 2024. 6. 8.
쇠채아재비. 식물- 쇠채아재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~~ 쇠채아재비국화과 쇠채아재비속 / 두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하며 선상피침형이고 솜털이 있지만 자라면서 털이 없어진다.꽃은 머리모양꽃차례이며 가지 끝에  달리고 담황색으로 5~6월에  핀다.총포는 설상화보다 길다.열매는 수과이며 관모는 흰색이다.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.  이상은 식물- 쇠채아재비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~~ 2024. 6. 8.
전동싸리, 자주개자리. 식물- 전동싸리, 자주개자리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~~  전동싸리콩과 전동싸리속 / 두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 3출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등이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.꽃은 총상꽃차례이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노란색으로 6~8월에 핀다.꽃부리는 나비모양이다.열매는 협과이며 검은색으로8~9월에 성숙한다.줄기는 털이 없다.  자주개자리콩과 개자리속 / 여러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 3출엽이고 소엽은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잔톱니가 있다.꽃은 총상꽃차례이며 자주색으로 5~8월에 핀다.꽃부리는 나비모양이다.열매는 협과이다.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.이상은 식물- 전동싸리, 자주개자리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~~ 2024. 6. 8.
자주개자리. 식물- 자주개자리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~~ 자주개자리콩과 개자리속 / 여러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 3출엽이고 소엽은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잔톱니가 있다.꽃은 총상꽃차례이며 자주색으로 5~8월에 핀다.꽃부리는 나비모양이다.열매는 협과이다.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.  이상은 식물- 자주개자리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~~ 2024. 6. 7.